시작하며
사진이나 영상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고민 중 하나는 렌즈를 어떤 걸 사야 할지입니다. DSLR이나 미러리스 카메라를 처음 접했을 때, 바디보다 렌즈 선택이 더 어렵게 느껴진 경험 많으시죠? 오늘은 화각과 초점거리의 개념부터 광각·망원 렌즈의 차이, 초보자에게 어울리는 렌즈, 전문가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렌즈 조합까지, 렌즈 선택에 필요한 기본기를 정리해드립니다.
1. 렌즈는 왜 중요한가? 초점거리와 화각부터 이해하자
렌즈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사진이나 영상의 구도와 분위기를 결정짓는 시선의 창입니다. 같은 장면도 렌즈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담기게 되죠.
(1) 초점거리란? 렌즈 앞의 숫자부터 이해해보자
렌즈 앞면을 보면 '50mm', '18-55mm' 같은 숫자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초점거리를 의미하는데요. 초점거리는 렌즈 중심부터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로, 이 수치가 짧을수록 넓은 범위를 담고(광각), 길수록 멀리 있는 대상을 가깝게 당겨서(망원) 찍을 수 있게 됩니다.
(2) 화각이란? 렌즈가 담는 시야각을 말한다
화각은 카메라가 담을 수 있는 시야의 범위입니다. 손가락으로 OK 사인을 만들고 눈에 대보면 넓은 풍경이 보이죠? 이게 광각의 느낌입니다. 반대로 종이컵처럼 시야를 좁히면 멀리 있는 사물이 확대되어 보이는데, 망원렌즈의 느낌과 비슷하죠.
2. 화각별 렌즈의 특징과 쓰임새 정리
렌즈 선택은 결국 어떤 화각으로, 무엇을 담을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대표적인 화각별 렌즈의 쓰임새를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 대표 렌즈 화각별 특징 정리
렌즈 종류 | 초점거리(mm) | 특징 및 활용 예시 |
---|---|---|
광각렌즈 | 35mm 이하 | 넓은 시야, 풍경·건축물·단체 사진, 왜곡 있음 |
표준렌즈 | 35~70mm | 사람의 눈과 유사한 화각, 인물·일상 촬영에 적합 |
망원렌즈 | 70mm 이상 | 멀리 있는 피사체 확대, 인물 클로즈업·스포츠·공연 등 |
단렌즈 | 고정 초점거리 | 밝은 조리개, 선명한 이미지, 배경 흐림 표현에 유리 |
줌렌즈 | 범위형 초점거리 | 다양한 화각 가능, 휴대성·범용성 좋음 |
3. 초보자라면 어떤 렌즈가 좋을까?
처음 렌즈를 살 때 가장 추천되는 건 50mm 표준 단렌즈입니다. 사람 눈과 가장 가까운 화각이며, 왜곡이 적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특히 카메라를 통한 시선의 변화를 가장 뚜렷하게 체감할 수 있는 렌즈죠.
📷 처음 사진을 배울 때 추천하는 렌즈 구성
- 50mm 단렌즈: 왜곡 적고 밝은 조리개로 초점 연습에 탁월
- 35mm 단렌즈: 카페·거리·일상 촬영에 좋음, 배경도 자연스럽게 담김
- 85mm 단렌즈: 인물 클로즈업에 적합, 일명 ‘여친렌즈’
- 24-70mm 줌렌즈: 광각~표준까지 커버, 여행·일상에 무난한 조합
4. 렌즈를 많이 사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사진에 재미를 붙이기 시작하면 렌즈를 하나둘씩 사고 싶어집니다. 광각, 망원, 매크로, 단렌즈, 줌렌즈까지 종류도 많고 성능도 제각각이라 욕심이 생기기 쉽죠. 하지만 무작정 렌즈를 늘리는 것보다 중요한 건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화각을 익히는 과정입니다.
📌 렌즈를 늘리기 전 꼭 체크할 포인트
- 렌즈는 많을수록 좋은 게 아니다. 각 화각별 표현법을 제대로 익히지 않으면, 상황마다 렌즈를 바꿔도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 자신에게 맞는 주력 화각을 찾는 게 우선. 많은 작가들이 실제 촬영에서는 1~2개의 렌즈만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 렌탈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자. 고가 렌즈를 사기 전에 직접 써보고 나에게 맞는지 확인해 보는 게 좋습니다.
- 스마트폰으로도 연습이 가능하다. 휴대폰 카메라 배율을 조정하면 특정 화각과 비슷한 느낌을 미리 체험할 수 있습니다.
5. 영상 촬영에서 렌즈 선택은 어떻게 달라질까?
영상 촬영에서는 사진보다 화면의 흐름과 스토리 전개가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화각의 렌즈를 활용하게 됩니다. 하나의 영상 안에서도 넓은 장면부터 인물 클로즈업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성이 필요하죠.
🎬 영상 촬영에서 자주 쓰이는 화각별 렌즈
- 24mm: 공간 전체를 보여주는 풀샷, 배경 중심 촬영
- 35mm: 무릎 위까지 나오는 니샷에 적합
- 50mm: 바스트샷, 클로즈업, 스토리 전환에 자주 활용
- 85mm: 감정 표현에 효과적인 인물 클로즈업
- 135mm: 인서트컷, 디테일 강조 샷
영상에서는 줌렌즈도 많이 사용되지만, 일부 감독은 줌렌즈 위에 단렌즈 화각을 표시해두고 단렌즈처럼 사용하기도 합니다. 결국 핵심은 렌즈 종류가 아니라, 각 화각의 느낌을 잘 아는 것입니다.
6. 여행 촬영에서는 어떤 렌즈 조합이 좋을까?
여행 중에는 촬영 시간도 짧고 상황도 계속 바뀌기 때문에 한 번에 다양한 장면을 담을 수 있는 렌즈 조합이 중요합니다. 렌즈를 바꿀 시간도 부족하고,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장소도 많기 때문에 빠른 판단이 필요합니다.
🧳 여행 촬영 시 추천 렌즈 조합- 1인 촬영 시: 24-105mm 줌렌즈 하나로 광각~망원까지 커버
- 2인 촬영 시: 한 명은 24-70mm로 메인 촬영, 다른 한 명은 16-35mm 또는 70-200mm로 풀샷·망원 컷 담당
- 혼자 촬영 시 팁: 4K 영상으로 넓게 찍어놓고, 편집 단계에서 크롭으로 다양한 화각 구성
여행 촬영에서 가장 중요한 건 ‘렌즈 몇 개’보다도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담는 순발력과 체력입니다. 장면을 발견했을 때는 바로 여러 화각으로 촬영해두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마치며
렌즈는 단순히 기계 부품이 아니라, 사진가의 시선을 표현하는 가장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어떤 렌즈가 좋을지는 결국 사용자의 촬영 스타일, 촬영 목적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기본 개념과 경험을 바탕으로 선택하면 실패 없는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엔 50mm 하나로 시작해서, 차근차근 화각을 넓혀가며 자신만의 최적 렌즈 조합을 찾아보세요. 다양한 장비보다 내가 진짜로 잘 쓰는 렌즈 1~2개가 더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렌즈가 많다고 좋은 사진이 나오는 게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다 썼다.
'IT가전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gma Config 2025 핵심 정리: 새롭게 추가된 5가지 기능 총정리 (3) | 2025.05.12 |
---|---|
사진 퀄리티를 바꾸는 조명 사용법, 초보도 가능한 촬영 팁 정리 (0) | 2025.05.11 |
샤오미 포코 F7 프로, 성능 좋은 가성비 스마트폰일까 (1) | 2025.05.09 |
쓰고 나니 후회 없는 선택! 실사용 만족도 최고 가전 모음 (4) | 2025.05.03 |
EV3, 세계 올해의 차 수상! 소형 전기차의 기준을 바꾸다 (1) | 2025.05.03 |